모든 템플릿

팀 회고: KMQT (Keep/Moyamoya/Question/Try)

Chiemi Taki

2.7천 보기
194 사용
25 좋아요

보고서

팀 회고: KMQT (케모큐트)

KMQT (케모큐트)는 팀이 Keep/Moyamoya/Question/Try 항목을 함께 나열하여 활동을 회고하는 방법입니다.

  • 【Keep】인상 깊었던 좋은 점, 앞으로도 계속하고 싶은 것

  • 【Moyamoya】프로젝트 활동 중 애매하게 계속 신경이 쓰이는 것, "모야모야"하는 것

  • 【Question】직면하고 탐구하고 싶은 질문 ("모야모야"를 질문으로 전환할 때?)

  • 【Try】앞으로 해보고 싶은 것

팀원 각자가 말로 표현하기 어렵지만 뭔가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느끼는 "모야모야"한 감정을 팀과 함께 이야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야모야"를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거나 혼자서 감당하던 것을 팀과 함께 나누어 조금이나마 마음의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회고에서 자주 사용되는 KPT의 "P(Problem)"을 "M(Moyamoya)"로 바꿔 변형한 방식입니다.

KMQT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과제의 씨앗 발견〕

팀이 "모야모야"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팀 내에서 드러나지 않은 잠재적인 과제의 씨앗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팀 빌딩〕

함께 활동하면서도 직접 말하지 않으면 서로 알아차릴 수 없는 내부의 생각이나 감정을 나눔으로써, 팀 내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어떤 때에 사용하나요?

프로젝트 팀이 활동을 회고할 때 사용합니다.

팀원들이 각각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떤 감정을 가졌는지, 그리고 얻은 교훈을 공유하여 팀과 개개인의 향후 활동에 반영합니다.

프로젝트 종료 후가 아니라, 프로젝트 중간에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왠지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지만, 명확하게 과제가 있다고 할 정도는 아니니까 괜찮을까..?"라고 생각하고 있는 상태의 팀에서, 개개인이 느끼는 "모야모야"를 나눠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용 방법의 절차【참고 예제】

  • 인원: 2명 이상

  • 시간: 60분 이상 (참고)

    • ※ 참여 인원에 따라 "③ KMQT를 서로 공유하고 대화하자"에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② 각자가 KMQT를 작성하자"를 사전 숙제로 할지, 회고 모임 때 할지에 따라 회고 모임에 필요한 시간이 달라집니다.

① KMQT 보드를 준비하자

  • 진행자는 KMQT 보드를 복사하여 기입란을 만듭니다.

  • KMQT 보드를 팀에서 한 장 사용할지, 개인별로 한 장씩 사용할지는 회고 활동의 기간에 따라 결정합니다.

② 각자가 KMQT를 작성하자

  • 진행자는 회고 모임 참가자에게 Miro 보드를 사전에 제공하여 미리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모두 바빠서 사전 작성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전 작성을 강요하지 않고 회고 모임 시작 때 작성을 위한 시간을 가집니다.

    • Try는 아직 처음에 작성하지 않아도 괜찮음을 팀원들에게 알려줍니다.

    • "모야모야"는 과제인지 확실하지 않은, 어렴풋이 신경 쓰이는 것들도 포함하여 작성합니다.

KMQT를 공유하고 대화하자

  • 팀 멤버들이 모여서 각자가 작성한 KMQT를 하나씩 공유하세요.

  • 한 사람이 작성한 내용을 공유하면, 들었던 다른 멤버들은 더 알고 싶은 것이나 궁금한 점을 질문하거나 그 멤버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한 것을 이야기하면서 팀 전체가 잠시 대화를 나눕니다. 직접 이야기하거나 Miro에 작성해도 괜찮습니다.

  • 작성한 것을 공유한 후 대화를 인원 수만큼 반복하세요.

  • 팀의 인원이 많은 경우, 모두가 한 명씩 공유하면 시간이 부족할 때가 있으니 소그룹으로 나누어 공유하세요.

  • 그룹 간에 이야기했던 내용을 나중에 공유하거나 같은 그룹이 아니었던 사람들의 내용을 나중에 검토할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팀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려고 노력하세요.

회고회의 감상을 공유하자

  • 회고회의 마지막에, 회고회를 진행한 소감을 한마디씩 말하며 마무리합니다.

  • 얻은 인사이트나 앞으로 하고 싶어진 것을 공유하세요.

Question과 Try를 다시 점검하자

  • 회고회의 대화를 바탕으로, 다루고 싶은 질문(Question)과 앞으로 시도해 보고 싶은 것(Try)을 다시 정리해 보세요.

  •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액션이 떠오르지 않으면 굳이 Try를 작성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모야모야'를 풀고 싶은 질문으로 변환해 두고, 계속해서 '모야모야'를 받아들이며 너무 깊게 생각하지 않고 느긋하게 대처하세요.

팀에서 '모야모야'를 나눌 때의 주의점

  • '모야모야'에 대해서는 반드시 즉시 과제를 특정하고 해결책을 도출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전제로 KMQT 회고를 실시하세요.

  • 먼저 팀 내에서 서로의 '모야모야'를 받아들이기만 해도, 이후 팀 내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원활해질 것입니다.

  • 즉각적인 효과가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모야모야'를 공유하는 것은 서서히 팀에 영향을 미치는 한방약 같은 것이라고 이해하고 활용하세요.

Chiemi Taki

ReflectionResearcher/ExperienceDesigner @ MIMIGURI

株式会社MIMIGURIでリフレクションやナレッジマネジメントの実践&研究を中心に活動しています。チームづくりのためのふり返りの方法やツールのデザイン、個人やチームの暗黙知を抽出する方法の探究、組織内で知を開きあい巡らせる方法などを実践しながら研究しています。


카테고리